컨텐츠
복식호흡과, 근육이완훈련, 착지법 및 나비포옹법 등을 통해 스스로 마음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질문1
저는 평소에 심장이 빠르게 뛰는 것처럼 두근거려요.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해야 할까요?
답변1
아닙니다.
심장이 두근거리는 것은 심장 박동이 빠르거나 불규칙한 증상으로 흥분, 불안 뿐만 아니라 심장 문제, 심한 운동, 과도한 카페인 섭취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가슴 통증이나 숨을 쉬는 것이 어려운 호흡 곤란 등이 동반된다면 부정맥과 같이 심장 이상이 있을 수도 있으므로 혈액 검사, 소변검사, 흉부촬영, 심전도 등의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검사결과에서 이상이 없고 심장 두근거림이 놀람, 스트레스 등과 같이 심리적 불안감과 관련이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두근거림」
질문2
재난을 겪은 후 어떻게 마음의 안정을 얻을 수 있을까요?
답변2
재난 이후 긴장과 걱정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 재난 이후 이완운동을 통해 스스로를 진정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더 쉽게 잠들고, 집중하고, 생활해 나가기 위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이완 운동으로는 근육 이완 운동, 호흡운동, 명상, 수영, 스트레칭, 요가, 기도, 운동, 조용한 음악 감상, 자연에서의 시간 보내기 등이 포함됩니다.
※ 출처 : 국가트라우마센터
질문3
자녀들에게 복식호흡을 어떻게 알려주면 좋을까요?
답변3
자녀가 호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유도방법)
- "우리 몸을 차분하게 진정시켜줄 수 있는 색다른 호흡하는 방법을 연습해 보자."
- "한 손을 배 위에 올려봐, 이렇게." [행동으로 보여줍니다.]
- "잘 했어. 이제 코로 숨을 들이쉴 거야."
- "숨을 들이쉬면서 공기를 가득 채워서 배가 이렇게 나오게 해봐." [행동으로 보여줍니다.]
- "다음에는, 입으로 숨을 내쉬는 거야."
- "숨을 내쉬면 배가 이렇게 쏙 들어갔다가 위로 올라가는 거야" [행동으로 보여줍니다.]
- "엄마가 셋을 세는 동안 천천히 숨을 들이쉬어 보자."
- "내쉴 때에도 셋을 세는 동안 아주 천천히 내쉬어 봐."
- "같이 한 번 해 보자. 정말 잘했어!"
- 다음의 게임형태로 알려줄 수 있습니다.
① 주방 세제와 비누거품 놀이기구로 비눗 방울 놀이하기
② 풍선껌으로 풍선 불기
③ 종이를 구겨 뭉치거나 솜뭉치를 식탁 반대편으로 불기
④ 깊은 숨을 쉬는 캐릭터를 자녀가 흉내 낼 수 있도록 하는 이야기 들려주기
※ 출처 : 국가트라우마센터